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IT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포인터배열 #c언어포인터 #포인터 #c포인터
- c언어문자열처리방법 #c언어문자열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SQLi #sqlinjectioon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IT #SQLi #TimeBaseSQLi #sqlinjection
- 파일시스템과파티션 #포렌식 #사이버포렌식 #Encase #Forensic #파티션 #파일시스템 #정보보안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phpcodeinjection #injection
- #FAT파일시스템 #파일시스템구조 #파일시스템 #Forensic #정보보안 #IT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 c언어malloc #동적할당 #c언어동적할당 #c언어malloc사용하기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포인터와문자열 #c언어문자열
- 포렌식 #사이버포렌식 #Forensic #정보보안 #IT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배열포인터 #c언어포인터 #c언어배열포인터 #배열포인터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xss #storedxss #CrossSiteScripting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포인터 #c언어포인터연산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2차원배열동적할당 #c언어동적할당 #c동적할당 #c언어동적할당2차원배열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BrokenAuthentication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동적메모리할당 #malloc #메모리
- XSS #ReflectedXSS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로또번호생성 #로또번호만들기 #중복제거 #중복제거알고리즘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IT #robots.txt #검색엔진노출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IT #CSRF #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commandinjection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포인터 #포인터변수 #c언어주소 #주소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포인터의포인터 #c언어2중포인터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IT #PUT메소드 #PUT #HTTP메소드 #취약점
- C언어 #C #C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정렬 #선택정렬알고리즘
- beebox #bWAPP #webhacking #web #웹해킹 #정보보안 #bruteFource #무차별공격
- 사이버포렌식 #포렌식 #FAT
- Today
- Total
Hello Security World
Digital Forensic [Windows Artifact 분석] 본문
Windows Artifact 분석
Windows 파일
IE History, 임시인터넷 파일, Cookie
Prefetch File
Recycle Bin
Shortcut File
Log Files
Jump List
Backup/Restore
Windows 파일 - 파일 시간 분석
일반 파일 및 폴더
만든시각(Created Time) : 파일이 생성된 시간
수정한시각(Modified Time) : 파일이 수정된 시간
접근시각(Accessed Time) : 파일이 읽혀진 시간
위의 세가지를 약자로 MAC 이라고 한다.
임시 인터넷 파일(Temporary Internet Files)
최종수정시각(Last Modified Time) : 다운로드 받기 전 이미 서버상 에서 생성된 시간
최종접근시각(Last Accessed Time) : 일반 파일과 동일
최종확인시각(Last Checked Time) :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최종수 정시각과 임시 인터넷 파일(cache)의 최종수정시각과 비교한 시각
작업에 따른 파일의 MAC 시간 변경
파일 생성
[수정한날짜], [만든날짜], [접근날짜] 모두 일치
파일 이름변경
[접근날짜]만 변경 파일 내용수정 [수정한 날짜],[접근날짜] 변경
파일 복사
[만든날짜], [접근날짜] 변경
파일 이동
[접근날짜]만 변경
파일 다운로드 (브라우저, FTP, Zmodem등)
[만
든날짜], [수정한날짜], [접근날짜] 변경
메신저에 의한 파일생성 (MSN)
[만든날짜], [수정한날짜], [접근날짜] 변경
파일 압축 해제
[만든날짜],[접근날짜] 변경
파일 생성시 MAC이 모두 일치
파일 복사시 생성 날짜, 엑세스 날짜만 바뀜.
위의 파일 생성 , 복사는 이론과같이 일치하지만 파일 이동 및 이름 변경시 에 발생되는 MAC의 변경 여부는 Window version 에 따른 차이,환경설정에 따라 변수가 많다 또한 window xp 이후 버전부터는 파일에 관련된 사용자 접근시 발생하는 시간변경에 대해 모두 기록하지 않고 1시간 간격으로 기록한다 이벤트 발생시 발생되는 I/O 가 많아져서 과부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게 있구나 정도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듯하다.
Last Access Time (접근날짜) 이슈 (NTFS 기준)
Last Access Time Disable
-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ileSystem\NtfsDisableLas tAccessUpdate
- 0:Inactive, 1:Active
Last Access Time 변경 이슈
최근 Access Time이 이전 Access Time과의 차이가 1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최근 Access Time으로 변경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
파일이 수정되는 경우는 Access Time도 변경
FAT File System 특징
FAT 파일 시스템은 NTFS 와 다르게 Directory Entry에 Create Date/Time, Write Date/Time, Access Date가 존재하고 Access Time은 존재하지 않는다.
UTC 와 Local Time
파일 시간 분석 및 파일 시간 증거수집 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제 표준시를 준수해야 한다.
GMT (Greenwich Mean Time): 그리니치 천문대 표준시 (평균 태양 시)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국제 표준시
Local Time: 한국의 경우 GMT/UTC +9
FAT 파일 시스템과 NTFS 파일 시스템의 시간기록 차이점
Windows의 시간 기록 (FAT32)
Windows의 시간 기록 (NTFS)
Windows 파일 분석- History 파일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사용해 접속 했던 웹사이트의 URL 목록
History 정보 보기 BrowsingHistoryView (www.nirsoft.net)
History 파일 분석
1. 과거에는 URL의 Query String 부분에 ID/Passwor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보안 문제로 인하여 SSL 또는 그에 준하는 보안 기능을 이용하며 Post 방식으로 서버로 전송
2. Hits 수로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 조회 가능 (포탈 제외)
3. 최근 방문한 사이트 또는 이슈가 되는 날짜에 방문 했던 사이트 조회 가능
4. 검색 사이트의 경우 URL의 Query String에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므로 어떤 검색을 시도했는지 확인 가능
임시인터넷 파일(Cache, Temporary Internet File)
방문한 사이트에 대한 임시 저장 파일로서 동일 웹 페이지 접속 시 속 도 향상을 위하여 다시 웹 페이지를 인터넷에서 가져오지 않고 임시 저 장 파일을 재사용 하는데 사용
Cache 정보 보기
IECacheView (www.nirsoft.net)
임시인터넷 파일 분석
1. 삭제되어진 파일의 경우 Encase 등으로 복구
2. 방문한 사이트에 대한 웹 페이지, 이미지, Script 등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사이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3. 업데이트 되지 않은 웹 페이지 내용 확인 가능
4. Email, ID, 주민번호, 수신 메일 내용 등 확인 가능
Cookie
1. 웹 사이트와 사용자의 시스템간의 매체 역할
2. 사용자 정보, 세션 정보 등 저장 관리
쿠키에는 2가지가 있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반영구적 쿠키 Persistent Cookie : 하드디스크에 저장
Temporary Cookies : 브라우저 종료시 자동 삭제
Windows 파일 분석 - 휴지통 파일
Windows XP 삭제된 파일
\Recycler\%USER_SID%\ 폴더에 rename되어 저장
Rename 형식 : D%drive_letter%%index_number%.%file_extention%
Windows Vista 이후 버전의 삭제된 파일
\$Recycle.Bin\%USER_SID%\ 폴더에 rename되어 저장
Rename 형식 : $R%randum_characters%.%file_extention%
INFO2 파일(554Byte) : $I%randum_characters%.%file_extention%
Windows Server 파일 분석 – Log Files
로그 정의
어떤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의 어떤 값을 갱신할 때 갱신 전의 값 과 후의 값을 로그에 먼저 기록하는 것. 트랜잭션의 시작과 완료, 철 회 등의 정보도 로그에 기록된다.(TTA 용어사전)
로그 생성 목적
문제 발생 시 로그 기록을 통해 문제 발생 상황을 파악하고 그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됨. 증거분석에서는 그 로그 기록을 통해 해킹 기록이나 과거의 컴퓨터 상태 등을 역추적함.
Windows 로그 종류
Event 로그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로그
기타 응용프로그램
Event Log
Windows가 동작하는 중 발생하는 상태를 파일에 기록함
Windows 설치 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음
-단 보안이벤트는 설정을 해야 함
응용 프로그램 로그는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함
Event 로그 파일은 자체 형식을 가지고 있음 시간 기록이 로컬 타임으로 저장됨
응용 프로그램 로그
-Windows에서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활동 내역을 기록
-로그 내용은 개발자가 기록을 원하는 정보나 에러 등을 포함
시스템 로그
Windows 시스템 구성 요소와 관련된 활동 내역을 기록
-주로 하드웨어 장치나 드라이버의 오류 정보나 하드웨어 동작 여부 기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연결 여부와 같은 하드웨어 기록이나 이 벤트
-서비스 시작/중지 등과 같은 시스템 서비스 활동 내용 등
보안 로그
-보안 로그에 기록된 이벤트 형식은 로컬 보안 정책(관리도구->로컬 보안 정책->감사 정책)을 통해 설정
-파일 생성, 삭제 등의 하드웨어 자원 여부 사용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온 시도의 성공/실패와 같은 보안 이벤트
-원격지에서 접속을 시도한 로그온 이벤트, 특정 파일 및 디렉터리를 생성한 자원 사용 이벤트 등을 기록
로그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사용자가 특정 파일에 접근했는지
누가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로그인 했는지
누가 시스템에 로그인 실패했는지
특정 어플리케이션 사용 여부
감사 정책 변경 여부
사용자 권한 변경 여부
인터넷 사용기록 History
BrowsingHistory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기록의 History 파일을 열람할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시 기록이 확인되는것을 알수 있다, 위의 URL 정보로 GET방식으로 전송되는 값들은 URL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분석 대상자의 잠재적 행위 , 행동을 추측 , 분석할수 있다.
해당 url을 클릭하면 상세 결과가 나온다.
과거에는 URL의 Query String 부분의 ID/PASSW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보안 문제로
인항 ssl 또는 그에 준하는 보안 기능을 이용하여 POST방식으로 서버로 전송 한다.
이러한 인터넷 사용기록 , 흔적은 주기적으로 삭제를 해줘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무료로 배포하는 고클린,백신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브라우저 속도가 느려지고 미세한 차이지만 PC성능이 저하된다.
Windows 파일 분석 - 휴지통 파일
Windows Vista 이후 버전의 삭제된 파일
\$Recycle.Bin\%USER_SID%\ 폴더에 rename되어 저장
Rename 형식 : $R%randum_characters%.%file_extention%
INFO2 파일(554Byte) : $I%randum_characters%.%file_extention%
휴지통이 있는 파일의 경로는 C:\$Recycle.Bin 경로에 있다 $ 는 숨김파일이며 해당 경로에서 dir / ah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시스템의 유저 SID 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각 사용자별로 휴지통의 목록이 있기때문에 분리 한것이다.
위의 사용자 SID 값을 이용하여 해당 SID 경로로 이동하여 삭제된 파일을 열람해보자 !
경로를 사용자의 SID 를 입력후 DIR 명령어를 입력하였더니 삭제된 파일의 내용이 들어가있는것을 확인할수있다.
'정보보안 > Foren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gital Forensic [파일 시스템 과 파티션] (0) | 2020.05.03 |
---|---|
Digital Forensic [파일 시스템] (0) | 2020.05.03 |
Digital Forensic [Windows 레지스트리 증거 수집] (0) | 2020.05.03 |
Digital Forensic [메모리 수집 분석] (0) | 2020.05.03 |
Digital Forensic [실시간 대응 프로세스 정보 수집] (0) | 2020.05.03 |